사주 명리학

하산 사주 명리학 기초 2-1

하산 도사 2017. 8. 21. 18:40



사주명리학 기초 2-1

- 근 묘 화 실 론

근묘화실이란 사주를 시간적개념으로 두는것으로 뿌리(씨앗)이 자라나 묘목이 되고

꽃을 피우며 열매를 맺는 과정을 인간사에 담은 개념이다.

씨앗에서 나무로 나무에서 장성한 나무로 장성한 나무에서 열매를 맺어 다시금 반복하는 과정
이다.

근根=연주로 조상을 나타내며 자신의 근본 뿌리가 된다. 유년기에 속하며 자신의 근본 바탕

어린시절환경을 나타낸다고 본다.

묘苗=월주로 부모를 나타내며 자신의 청년기가 이에 속한다.

화花=자신을 나타내며 배우자를 포함한다. 장년기로 중요한 인생 황금기 이다.

실實=시주로 자식관계를 나타내며 노년운을 본다.

근묘화실론은 너무 단순하며 확률도 떨어진다.해서 필자는 근묘화실론을 그렇다 할수 없다고

정의한다.일반론에서는 궁극적으로 다루기도 하는데 이는 타당치 않다.

+ 운 학 運 學

사주명리학에서의 운에는 대운 大運 소운 小運 연운 年運 월운 月運 일운 日運 시운 時運의

종류가 있으며 시운은 몇시에 어떤일이 벌어질지 보는것이고 일운은 내일이나 오늘 무슨일이

벌어질지 보는것이고 월운은 다음달 혹은 이번달 무슨일이 생기는지 보는것이다.

그중에 대운은 장 기간의 큰 영향을 미치는 운을 의미한다. 10년마다 인생의 변화가 있는데

대운을 알면 그 흐름을 미리 알고 인생을 긍정적이고 희망적으로 이끌어 갈수 있다.

명조의 궁극적 성향(개성,적성,성격 등등)을 명命이라고 한다면 대운 소운 연운 월운등의

운運학을 합쳐 운명運命이라고 한다.자신의 장점을 미리 알고 긍정적인것을 알아보고

혹은 단점을 보고 보안을하여 극복하는대에 활용하기 위해 보는것이 대운 소운 연운 등의

운학이다.

이를 운명학 運命學 이라 한다.

-사주와 대운

명조와 대운을 가장 쉽게 이해하는 방법으로 이미지 자동차와 길을 상상해보자

차를 원국이라하고 대운을 도로라고 생각해보자.

원국이 아무리 좋은 차여도 도로가 곱지 못하면 쉽게 가기 힘들며 길이 멀리 있다면

멀리 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도로가 좋더라도 차가 나쁘면 오래 걸리는건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둘다 좋아야 인생을 편안하게 가져 갈수있는대에 의미가 있다.

하지만 필자는 이렇게 생각한다. 대운은 변화하지만 사주 원국은 죽을때까지 가져간다.

고로 원국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자신의 주요 적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누구에게 이끌려

나의 꿈을 내 맡기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았던가. 현재는 그런 문화가 별로 없지만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으로 부모가 원하는대로 자식이 가길 원하며 강요하는 경우가 얼마전까지 대다수 였다

그런만큼 좋은 직업을 갖게 되었어도 후회를하며 적성을 뒤 늦게 찾게 되는 불쌍한 청년들이

많이 나타났다. 그런만큼 자신의 성향과 그만한 적성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아무리 좋은

대운을 지닌들 지나치며 아무리 좋지 못한 대운도 지나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얼마나

보안할것인가에 대운을 보아야 하지 그것이 옳다 할수 없는것이다. 그만큼 사주 원국의

중요함을 다시금 되새겨 본다.대운의 가장 문제가 되는것은 용신론으로 용신이나 희신을

찾는대에 열중하다보면 사주 원국의 중요성을 잃게 된다. 또한 사주 원국을 용신이나 희신

찾는 도구로만 바라보게 되니 이점 명심해서 조심을 더 해야 한다.

사주구성은 모두가 나의 성향이며 나의 것이지 다른 용도의 도구가 아닌 것이다.

또한 그만큼 사주의 필요 없는 글자는 없으며 한 글자라도 없다면 읽을수 없는것이 사주명리학

이다. 그만큼 하나하나 섬세하게 읽으려고 노력하는 역술가가 되어야 한다.

-대운 간지 세우기

대운은 10년마다 바뀐다. 예를들어 2년이라면 12,22,32,42... 등등으로 10년 단위로

바뀐다.

월주를 시작으로 남성이라면 연간을 보아 양간이라면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

순행으로 월주가 흐르며 남성이 음간이라면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

역행으로 여성이 연간을 보아 음간이라면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

월주가 순행으로 흐르며 여성이 연간을보아 양간이라면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

월주가 역행한다.

순행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역행

갑(甲)계(癸)임(壬)신(辛)경(庚)기(己)무(戊),정(丁)병(丙)을(乙)

자(子)해(亥)술(戌)유(酉)신(申)미(未)오(午) 사(巳) 진(辰)묘(卯)

+ 지장간

지장간支藏干이란 지지에 숨어있는 천간의 기운을 말한다.

초기 중기 정기로 나뉘며 이중에 중기를 가장 강한 기운으로 말한다.그 기운이 아주 왕성

할때라고 말할수 있다. 초기初氣란 전달의 기운을 어느정도 머금고 있기때문에 강한 기운은

아니며 그런 의미로 여기餘氣라고도 한다.정기正氣는 본래기와 같은 기를 가진 천간으로서

해당 지지에서 가장 강한기를 의미한다. 지지와 같은 천간을 사용한다.

예로 사(巳)화는 무(戊)경(庚)병(丙)으로 이 병(丙)가 정기가 된다.

지장간 표 (처음 초기 혹은 여기,중기,정기)

자(子)=임(壬) 계(癸)

축(丑) =계(癸) 신(辛)기(己)

인(寅)=무(戊) 병(丙)갑(甲)

묘(卯)=갑(甲) 을(乙)

진(辰)= 을(乙)계(癸) 무(戊)

사(巳) =무(戊) 경(庚) 병(丙)

오(午)= 병(丙)기(己) 정(丁)

미(未)=정(丁)을(乙) 기(己)

신(申) = 무(戊) 임(壬) 경(庚)

유(酉)= 경(庚) 신(辛)

술(戌)= 신(辛) 정(丁)무(戊)

해(亥)=무(戊)갑(甲)임(壬)

자=자기야~ 임마 이런 계새x
축=축샘 계신가(기)요
인=인간은 무병장수를 위해 꼴갑을 떤다
묘=묘하게 생긴 갑옷을 입다
진=진한맞을 내려면 계란과 무를 넣어라
사=사무라이가 경찰에 맞고 병원에 실려갓다
오=마담이 병난 것은 기정 사실이다
미=미우면 고운 정을 기대하지 마라
신=신기루같이 무임 승차하면 경친다
유=유유자존하며 경솔치 않는 신비한 자
술=술은 신정때 무척 마신다
해=해 저무는 갑판위에서 님(임)그리워한다.

=위 암기법은 유명한 암기법과 저의 암기법입니다.
(욕도 있으니 조심.)

=위 내용을 무단 배포시 형사처벌할 것임을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하산 賀山







지방분해기를 7일 동안 무료로 체험 하는 방법(30세 이상)
http://yimay.kr/t49z8mtzlw

신청하기만 해도 지방분해기 '트라이컷S' 7일 무료체험 기회를 드립니다.

* 30대 이상 참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