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명리학

하산 사주 명리학 4-1

하산 도사 2017. 8. 21. 19:10




-음양오행의 리더쉽

-음 (혹은 음기를 지닌 신살의 성향)

준비형 리더쉽

일지향리더쉽

물러나는 리쉽

생각하는 리더쉽

감각적 리더쉽

따뜻함의 리더쉽

참모의 리더쉽

배려 깊은 리더쉽

포용의 리더쉽

-양 (혹은 양기를 지닌 신살의 성향)

돌파의 리더쉽

화끈한 리더쉽

대장적인 리더쉽

정신적 리더쉽

적극적 리더쉽

앞장서는 리더쉽

실천형 리더쉽

통솔의 리더쉽

명예지향 리더쉽

+ 음양 오행의 건강

사주팔자를 분석하다보면 건강상태에 대하여 알수가 있다.

직업,적성,개성등등 오행 과발달 발달 정도를

판단하여 건강은 오행의 고립과다 정도를 보고 판단하기도 한다.

사주팔자 안에서의 오행의 문제를 바라보고 건강 문제를 알아내는 것이다.

건강문제가 나타나면 치료가 불가능하거나 사망에 이르는지 두려워 묻는사람도 있다.

답하자면 전혀 무관하다. 본인이 조심하고 본인이 건강 관리를 한다면 자연스럽게 지나가듯

문제 없는것이다. 전에도 말했듯이 사주명리학 자체는 본인의 앞을 보고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

사용한다면 이만한 약이 없는것이다. 자신의 문제점의 장점과 단점을 보듯 육체를 바라보는 관점도

이와 같은 것이다.

오행 건강 표

오행 목 화 토 금 수

오장 간 심장 비장 폐 신장

육부 담(쓸개) 소장 위장 대장 방광

건강 뼈,수술 혈관질환 자궁.난소 우울증 자궁.난소
순환기질환 신장 자폐증 우울증
안질환 산부인과질환 뼈 자폐증
정신과질환 비뇨기과질환 무기력증 불면증 ,두통
고립의 건강

팔자로 보는 오행의 문제시 나타나는 건강 (영상 강의)

+ 육 친 론

-육친의 종류에는 비견,겁재,식신,상관,편재,정재,편관,정관,편인,정인으로 모두 10가지가 있다. 이것은

자신을 주체로 나누어진 오행들이 서로 "나" 와 소통하는 관계를 말한다. 쉽게는 관계론이라고도 한다.

오행의 생극 관계로 인하여 만들어지는 관계이니 만큼 오행의 생극을 잘 파악 해야한다.

일반론에서는 사흉신 사용신이라하여 어떤 육친은 나에게 이롭지 않다라고 한다.

겁재,상관,편관,편인을 흉으로 분류하는것이다. 하지만, 절대 육친은 좋은것이 따로이 존재하고 나쁜것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것을 먼저 말하는 바이다. 어떤 육친이든 좋게 작용하기도하고 어떤육친이든

나쁘게 작용하기도 하는것이다. 절대로 미흡한 이런 관점에서 바라봐서는 않 되는 것이다.

항상 오행의 문제를 보아 그 육친의 문제를 짚으려 노력하여야지 결코 4흉신에 매료되어 나쁜것이라

칭하지 하여 바라보아서는 안된다는 의미이다.어떠한 육친도 나에게 크게 이롭게만 작용하거나 나쁘게만

작용하는것은 결코 없다.

- 육친의 정의

-비견 比肩은 나와 어깨를 함깨 나란히 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오행도 같으며 음양도 같은경우를 말한다.

일간이 주체가되며 일간을 중심으로 관계가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일간이 甲일때 甲이나 지지의 寅일때 같은 천간이나 같은 지지, 또한 같은 음양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뿌리를 말하거나 그 오행의 핵심 천간을 말하는 것이다.

乙은乙을 만나거나 卯를 만낫을때를 말한다.丙은 丙을 만나거나 巳를 만나는것이다.

丁은丁을 만나거나 午를 만나는 것이다.戊는 戊를 만나며 辰,戌을 만나는 것이다.

己는己를 만나거나 丑未를 만나는 것이다. 庚은庚을 만나거나 申을 만나는 것이고

辛은辛을 만나거나 酉를 만나는 것이고 壬는 壬를 만나거나 亥를 만나는것이다.

癸는 癸를 만나거나 지지에서 子를 만나는것이다.

이처럼 음양이 일간과 같으며 일간과 같은 지지를 말한다.

(본래 오행이 가지고 있는것과 통변시 원국에서 巳,午,子,亥의 음양을 바꾸어 해석한다.

巳화는 양으로,午화는 음으로,子수는 음으로,亥수는 양으로)

-겁재 劫財 일간이 나와 같고 , 음양이 다른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일간이 甲일때 乙을 만나거나 지지의 卯를 만나는 것이다.

乙은甲을 만나거나 寅을 만나는것이다.丙는 丁을 만나거나 지지의 午를 만나는 것이다.

戊는 己을 만나거나 未丑만나는것이고 己는戊를 만나거나 辰,戌를 만나는것이다.

庚는辛을 만나거나 지지의 酉금을 만나는 것이고 辛은 庚을 만나거나 지지의 申을 만나는 것이다.

壬는癸를 만나거나 지지의 子를 만나는것이다.癸는 壬를 만나는 것이고 지지의 亥를 만나는 것이다.

(일반론에서는 겁재를 재성을 극하기 때문에 재물을 겁탈한다는 의미로 겁재라 부른다.하지만

이런 부정적 시각은 올바른 사주분석에 큰 방해물이 될 뿐이다. 육친은 언제고 좋을수 있고 언제고

나쁠수 있는것이다. 정해진 틀은 없으며 그런 이론들은 바뀔 역 易자로서의 역학 상담을 방해하며 언제나 바뀐다는

의미를 종결시키려 하고 그만큼 역학이란 이론과 대조적이지 못하는 타당성 없는 근거로 접근한다.

절대 사흉신이론은 사라져야 할 이론이다.언제고 나에게 도움이 되기도하며 언제고 나에게 단점인것은 무엇이나

마찬가지이다.비견과 겁재의 차이는 거의 없다라고 볼수 있다.혹은 비교적 비슷하다라고 바라보면 될것이다.)

-식신食神은 일간이 생하면서도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예를들어 일간이 甲일때丙,巳 乙일때丁午

丙일때 戊,지지로는辰戌 丁일때 己,丑未

戊일때 庚,申 己일때 辛,酉

庚일때 壬,亥 辛일때 癸,子

壬일때 甲,寅 癸일때 乙,卯

표현그대로 밥귀신이고 하며 편관을 극한다 하여 수성壽星이라고도 부른다.편관이 일간인 나를

극한다하여 나를 죽이는 육친으로 보아 살殺이라 부르는 반면 7번째에 해당해 七殺이라고도 부르며 육친중

가장 나쁘게 표현하는데 이 편관을 극하여주기 때문에 나를 살린다하여 수성이라고 부르는것이다.

하지만, 딱히 육친에서 나를 극하여 나를 죽인다는 표현은 잘못된 해석이라고 말씀드리는 바이다.위에서도

말햇듯이 어느것도 나에게 도움이되고 어느것도 나에게 단점이 되는 것이 역학의 기본 자연론이다.

이것을 거스르는 것은 이론적 타당성이 없는것과 같다.

-상관 傷官 일간이 생하지만 음양이 다른 경우를 말한다.

甲일때丁,午 乙일때 丙,巳

丙일때 己,未,丑 丁일때 戊,辰,戌

戊일때 辛,酉 己일때 庚,申

庚일때 癸,子 辛일때 壬,亥 가 이에 해당한다.

일반론에서 정관을 극한다하여 흉측한 육친으로 본다. 정관은 관직 명예등을

상징하는데 이런 중요한 관을 극하기 때문에 상관을 극도로 꺼리는 부분이 있다.

하지만, 이런 부분도 신경쓸 필요가 없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어떤것이든 장단점은 모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관이 강하여 성향이 문제가 있으면 그것의 귀틀을 잡아주는 소중한 육친이다. 그런식의 시각은 오히려 상담을

난해하게 만드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근거적이지도 못한 이론이다.관을 도와 세력의 균형을 맞춰주는 소중한

관계란 말이다. 무조건적인 흉신이란 존재만으로 좋지 못한 육친이라고 하는것은 역학이론을 뒤집어놓는 문제가 큰

이론이다.반드시 이런 이론들은 사라져야 할것이다.

-편재 偏財 일간이 극하며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예를들어 甲일때 戊,辰,戌 乙일때 丑未

丙일때 庚,申 丁일때 癸,酉

戊일때 壬,亥 己일때 癸,子

庚일때 甲,寅 辛일때 乙,卯

壬일때 丙,巳 癸일때 丁,午 가 이에 해당한다.

-정재 正財 일간이 극하면서도 음양이 다른경우를 말한다.

예를들어 甲일때己,未,丑 乙일때 戊,戌,辰

丙일때 辛,酉 丁일때 庚,辛

戊일때 癸,子 己일때 壬,亥

庚일때 乙,卯 辛일때 甲,寅

壬일때 丁,午 癸일때 丙,巳 가 된다.

-편관 偏官 나를 극하면서도 음양이 같은경우를 말한다

예를들어 甲일때庚,申 乙일때 辛酉

丙일때 壬亥 丁일때 癸子

戊일때 甲寅 己일때 乙卯

庚일때 丙巳 辛일때 丁午

壬일때 戊辰戌 癸일때 丑未 가 된다.

일곱번째에 해당하는 천간에 나를 극한다하여 七殺이라고 부르며 일반론에서는 이 칠살을 흉신중에

가장 나쁜 육친이라 설명한다. 나를 극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오히려 나의 힘이 지나치게 너무

강할때는 나를 극하여 정신차리게 해주는 육친이다. 이런 중요한 육친이 과연 나쁘다고 흉이라 볼수 있을까?

이런 시각으로 단순히 육친의 좋고 않좋고 라는 인식은 사주명리학의 발전을 막는 문과도 같다.

어떤것이든 나에게 이로우며 어떤것이든 독이 될수 있다라는것을 명심하길 바란다.

-정관 正官

일간을 극하면서도 음양이 다른경우를 말한다.

예를들어

甲일때 辛,酉 乙일때 庚申

丙일때 癸子 丁일때 壬,亥

戊일때 乙卯 己일때 甲寅

庚일때 丁午 辛일때 丙巳

壬일때 己丑未 癸일때 戊辰戌 이 이에 해당한다.

-편인 偏印 나를 생하며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예를들어

甲일때 壬,亥 乙일때 癸子

丙일때 甲寅 丁일때 乙卯

戊일때 丙巳 己일때 丁午

庚일때 戊辰戌 辛일때 己丑未

壬일때 庚申 癸일때 辛,酉 가 이에 해당한다.

일반론에서는 편인이 식신을 극한다 하여 엎어질도倒 밥식食 밥을 엎어버린다는의미에 倒食이라고 한다.

사흉신이라고 해서 나쁜육친이라고 보지만 전혀타당성이 없다. 위에서 언급한것과 같다라고 보면 될것이다.

밥그릇을 엎어버리는 육친이라하여 도식이라 부르는것은 문제가 있다. 이런 용어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길 바라며 사흉신의

이론자체가 현대 사주명리학 통변 분석시에 굉장히 무리수가 있고 그만큼 해석을 난해하게 만들어 상담자를

힘들게 만들고 재대로된 해석을 하지 못하게 막아버리는 쓸대없는 이론이니 쉬이 생각하여 이런것이 있구나하고

지나쳐가길 바라는 바이다.

-정인 正印

일간인 나를 생조하면서도 음양이 다른 육친이다.

예를들어,

甲일때 癸子 乙일때 壬,亥

丙일때 乙卯 丁일때 甲寅

戊일때 丁午 己일때 丙巳

庚일때 己丑未 辛일때 戊辰戌

壬일때 辛,酉 癸일때 庚申 이에 해당한다.

=위 내용을 무단 배포시 형사처벌할 것임을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하산 賀山






탈모방지샴푸 30일 무료 체험 이벤트(30세 이상)

http://yimay.kr/t49zys9xqc


의사도 놀란 탈모방지샴푸 '카리원' 지금 바로 30일 무료 체험 신청하세요.